아는즐거움

2023 부동산 시장전망 내집마련 영끌해야하나?

마담정리사 2022. 12. 14. 09:09
반응형

강남 부자 절반 이상이 부동산 매입 계획 없다고 한다.

둔촌 주공마저 사실상 미분양, 미분양 대란이 밀려온다.

 

집 값이 하락하고 있다. 지금 사야할 때인가?

가격이 빠짐과 동시에 거래량이 늘어날 때 내집마련 하세요~

 

서울 아파트 가격과 거래량 변화 (출처, 삼프로TV)

내집마련 언제하면 좋은가요?

금리가 내리면 사면 됩니까 ?

아니요. 왜요?

너무 많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가격 (출처. 삼프로TV)
아파트 실거래가격 (출처. 삼프로TV)

 

집값이 최고일 때 무주택자는 주택을 사고, 다주택자는 주택을 팔았다.

무주택자는 가격이 오를때 집을 사고 가격이 빠질때 집을 판다! - ㅠㅠ

(즉, 투자를 잘하는 사람들은 고가에 집을 팔고, 투자를 못하는 사람들은 고가에 집을 산거다)

 

그럼 언제 집을 사면 될까요?

전세 가격이 중요합니다. 전세가격이 빠질 때 주목하세요.

 

  • 미분양 아파트 증가
  • 전세가격 하락
  • 강남 입주물량 증가
  • 2023년 강남 집값이 출렁 예상

 

서울 강남구, 아파트 입주 물량 (출처. 삼프로TV)

 

 

하락의 폭이 굉장히 클 때 나타나는 현상 - 여기서 가격이 떨어지면 바닥이 될 수 있다.

얼마나 가격이 빠져야 바닥인가? 아래 표 참조.

 

아파트 실거래 가격 (출처. 삼프로TV)

 

금리는 오르는데 가격이 떨어졌어요. 사요? 마요?

-> 가격이 떨어지면 사야한다! (얼마나 떨어져야 사는지는 표 참조) 변동 금리로.

 

건설사들이 분양을 꼭 해야한다. 2023년 상반기 17만 가구 정도 미분양이 증가할 수 있다.

미분양이 되면 연기를 해야하는데 연기를 할수 없다. 왜? 금리인상으로 인해 2.부동산 PF 만기연장이 안되고 있다.

그래서 계속 프로젝트를 지연시킬 수 없다. 22만호 예측, 올해보다는 줄어든다.

전국 분양이 80%로 떨어졌다. 20% 가 미분양. 2023년 8만7천 가구 예상.

불꺼진 아파트가 증가하는데 어떻게 부동산 시장이 좋을 수 있겠나?

 

미분양이 있어도 아파트는 지어야 한다.

분양가를 내리면 되지 않나? 처음부터 내리지는 않는다. 계약금을 낮춘다. 인센티브를 주거나 이벤트 상품 등으로 전개.

그래도 안되면 마지막에 할인해서 분양 한다. 처음부터 가격을 내려 분양하진 않는다.

유연한 생각을 가지세요~

 

부동산 싸게 사는 Tip. 요령 - 부동산 사장님과 친하게 지내세요. 급매, 수수료 많이 드리겠습니다. 라고 흥정

 

피데스개발과 대우건설, 이지스자산운용, 한국자산신탁, 해안건축은 더리서치그룹을 통해

수도권 주택 소유자 1000명 조사결과 50.8%는 향후 부동산 가치 낮을 것으로 응답 한걸로 나타났다.

지난해 53.5%와 비교해서 48.4% 줄어든 것이다.

 

수익형 부동산의 매매 거래가 위축되고 있다. 풍부한 시중 유동성과 주택규체 강화로 반사이익을 누리며

거래가 활발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고금리와 실물경기 침체 우려가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분위기다.

 

 

전국 아파트값이 속절없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거래 자체가 실종되면서 집값 경착륙 우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규제 완화에도 불구하고 약발이 먹히지 않는 모습입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어떻습니까?

 

  • 거래절벽에 아파트 매매.전셋값 역대 최대 하락세
  • 노도강 높은 하락률, 낙폭 약. 강남권 다시 내림폭 강
  • 한은, 서울.경기 일부 제외 전방위 규제지역 해제
  • 서울 아파트값, 지난 5월말 이후 28주째 마이너스
  • 전세시장 찬바람, 전세대출 금리 급등에 수요급감
  • 서울 아파트 전세값, 지난주 0.47% 하락, 낙폭 확대
  • 전국 아파트 수급지수 역대 최저, 강남권도 약세
  • 11월 서울 거래량 1년 새 반토막, 매수심리 위축 지속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