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제주여행
- 스타벅스
- 스위스
- A-Level
- 스타벅스원두
- 주말드라마
- 지슬하우스
- 맛집
- JTBC드라마
- 속초중앙시장
- 목포맛집
- 목포여행
- 제주맛집
- 군자역맛집
- 속초맛집
- 월화드라마
- 영국유학
- 제주도맛집
- 내돈내산
- 티빙드라마
- 가십걸
- 군자맛집
- 로컬맛집
- 줄서는식당
- 여자들
- 취리히
- 홍콩
- 목포역근처맛집
- tvN드라마
- 속초여행
- Today
- Total
지구인으로 살기!
소비기한 표시제, 식품 유통기한 사라지고 소비기한 확인하고 구입하세요! 본문
2023년 계묘년(癸卯年)이 밝았습니다.
올해 부터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을 두고 고민할 일이 없어집니다.
이제 소비기한을 확인하세요.
식품을 구입할때 지금까지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최대한 긴걸로 구입을 했습니다.
혼자 먹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짧은 걸 구입하고는 날짜가 지나면
왠지 유통기한임에도 불구하고 먹어도 되는건가 궁금 불안 하곤 했지요.
이 유통기한표기가 소비기한으로 바뀌었습니다.
이제 안심하고 소비기한 내에 먹으면 될것 같습니다.
유통기한
유통기한(流通期限)은 특정 제품이 제조 후 시중에 유통될 수 있는 기한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식품 따위에 많이 붙으며, 이것을 통해 식품의 신선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한국의 의약품에는 사용기한이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식품의 유통기한과 크게 다르지 않다. 유통기한은 제조·유통사가 식품을 제조·포장한 뒤 판매할 수 있는 기한을 뜻한다.
소비기한
소비자가 식품을 먹어도 건강상에 이상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소비자가 실제로 식품을 섭취할 수 있는 기한을 말한다. 국회가 2021년 7월 기존의 식품 유통기한 표시제를 소비기한 표시제로 2023년 1월 1일부터 변경하는 내용의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식품이 제조되어 유통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된 후, 소비자가 소비해도 건강이나 안전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인정되는 소비 최종시한을 말한다. 소비기한은 식품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판매가 허용되는 기간을 뜻하는 '유통기한'보다 더 길다. 즉, 소비기한은 소비자 중심의 표시제로 식품의 맛‧품질 등이 급격히 변하는 시점을 설정실험 등으로 산출한 품질안전 한계기간의 80~90%로 설정한 것이고, 유통기한은 영업자 중심의 표시제로 품질안전한계기간의 60~70%로 설정한 것이다.
한편, 소비기한과 유통기한 외에도 식품의 품질이 전혀 바뀌지 않는 기한을 뜻하는 품질유지기한과 식품 섭취가 가능한 최종기한을 뜻하는 종료기한도 있다.
식품유형별 소비기한 참고값 설정실험 결과(23개 식품유형 80개 품목), 출처: 식약처
식품유형
|
품목 수
|
유통기한
|
⇒
|
소비기한
|
증가율
|
(평균)
|
|||||
가공유
|
1
|
16일
|
⇒
|
24일
|
50%
|
간편조리세트
|
5
|
6일
|
⇒
|
8일
|
27%
|
과자
|
1
|
45일
|
⇒
|
81일
|
80%
|
과채음료
|
3
|
11일
|
⇒
|
20일
|
76%
|
과채주스
|
1
|
20일
|
⇒
|
35일
|
75%
|
농후발효유
|
7
|
20일
|
⇒
|
24일
|
17%
|
두부
|
4
|
17일
|
⇒
|
23일
|
36%
|
묵류
|
4
|
16일
|
⇒
|
19일
|
20%
|
발효유
|
6
|
18일
|
⇒
|
32일
|
74%
|
베이컨류
|
1
|
25일
|
⇒
|
28일
|
12%
|
빵류
|
4
|
20일
|
⇒
|
31일
|
53%
|
생면
|
3
|
35일
|
⇒
|
42일
|
20%
|
소시지
|
4
|
39일
|
⇒
|
56일
|
43%
|
신선편의식품
|
3
|
6일
|
⇒
|
8일
|
34%
|
어묵
|
6
|
29일
|
⇒
|
42일
|
44%
|
영・유아용 이유식
|
1
|
30일
|
⇒
|
46일
|
53%
|
유산균음료
|
3
|
18일
|
⇒
|
26일
|
44%
|
전란액
|
1
|
3일
|
⇒
|
4일
|
33%
|
즉석섭취식품(비살균)
|
12
|
59hr
|
⇒
|
73hr
|
24%
|
즉석섭취식품(살균)
|
3
|
30일
|
⇒
|
44일
|
46%
|
즉석조리식품*
|
1
|
5일
|
⇒
|
5일
|
0%
|
크림발효유
|
1
|
16일
|
⇒
|
28일
|
75%
|
프레스햄
|
3
|
43일
|
⇒
|
66일
|
53%
|
햄
|
2
|
38일
|
⇒
|
57일
|
52%
|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식품 섭취정보를 제공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효과가 예상된다. 식품 폐기가 감소함에 따라 소비자는 연간 8860억원, 기업은 260억원의 편익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해 샀던 라면의 유통기한이 2023년 2월 25일 까지
그럼 이 라면은 언제까지 먹으면 안전할까요?
라면의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6개월, 소비기한은 제조일로부터 8개월
그러므로 이 라면은 2023년 4월 25일까지는 안전하게 먹을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 라면은 곧 사라질 예정입니다. ㅎㅎㅎ